서울교통공사노동조합
-
2019
-
2019.02.21
[노사잠정합의서] 67.39% 찬성
-
2019.03.19
1기 지회장 보궐선거 및 2기 대의원 선거
-
2018
-
2018.04.14
‘완전히 새로운 통합노조’, ‘책임지는 민주노조’ 초대집행부 임기시작
-
2018.05.28
합의사항 이행! 현장탄압 분쇄! 투쟁 돌입
-
2018.06.07
열자! 노동현장의 봄! 서울교통공사노동조합 출범식
-
2018.06.11
안전인력 충원! 무인운전·무인역사반대! 시청 농성투쟁 돌입
-
2018.07.01
김태호 퇴진 투쟁 돌입
-
2018.07.11
시청 조합원 총회, 3천여명 참여
-
2018.08.20
시청 농성 71일차, 윤병범 위원장 단식농성 돌입
-
2018.10.17
자유한국당, 보수언론 ‘서울교통공사 채용비리’ 악의적 선전시작
서울교통공사노동조합 ‘선전대응팀’꾸려 조목조목 반박
-
2018.11.22
언론중재위 ‘조선일보’등 왜곡기사 실은 언론사에 ‘정정보도’ 명령
-
2018.11.28
[공동교섭단] 단체교섭 결렬 선언
-
2018.11.30
통합노조 포함한 [2018 임단협 공동쟁대위] 투쟁체제로 전환
-
2018.12.14
쟁의행위 찬반투표 65.44% 찬성
-
2018.12.27
임단협 [노사잠정합의서] 체결
-
2017
-
2017.02.21
02.21 제20대 집행부 출범(위원장 최병윤 사무국장 박덕남)
-
2017.05.22
서울지하철노조, 메트로노조, 도시철도노조 노동조합 통합 추진 선언
-
2017.05.23
제30기 정기대의원대회
-
2017.05.31
서울교통공사 출범
-
2016
-
2016.03.15
노사정 대표자, 지하철 통합 관련 잠정협약서 체결
-
2016.03.25
지하철 통합 관련 노사정 잠정협약서 51.92% 반대로 부결
-
2016.05.23
제19대 보궐집행부 출범(위원장 최병윤, 사무국장 윤석연)
-
2016.05.28
구의역PSD 비정규노동자 사망사고 발생
-
2016.06.03
구의역 사고 재발방지 및 서울메트로 안전 대책 요구 투쟁
-
2016.07.26
제29기 정기대의원대회
-
2016.09.27
박근혜 정부 성과연봉제, 퇴출제 강행 저지 총파업(3일간)
-
2016.10.~
박근혜 퇴진 촛불 행진 참여
-
2016.11.10
임단협 및 「양공사 통합 관련 보충 협약」 잠정합의
-
2016.11.23
양공사 통합 관련 보충 협약 가결(서울지하철노조 68.23%, 메트로노조 74.36%, 도시철도노조 81.43%)
-
1999
-
1999.03.13
전국공공운수사회서비스노동조합 연맹(공공연맹)결성
-
1999.04.19
구조조정 저지, 노동시간 단축, 일자리 나누기 쟁취 총파업(8일간)
-
1999.04.27
파업 철회, 현장복귀 위원장 및 지도부 명동성당 농성 돌입 / 위원장 직무대행 체제(김명희)
-
1999.07.16
노사정(서울시,공사,노조) 합의서 체결
-
1999.09.02
위원장 직무대행 체제(구덕회)
-
1999.10.15
제9대 집행부 출범(위원장 배일도)
-
1999.12.30
'99임단협 잠정합의(정원 1,621명감원, 정년단축, 4조3교대 폐지등)
-
1999.12.30
구조조정 저지와 민주노조 사수를 위한 4개 지부 비상대책위 결성
-
1998
-
1998.02.11
공사 측 손해배상 청구소송 철회
-
1998.03.10
제11기 정기대의원대회
-
1998.06.11
1998년 임투 총파업(10시간) 임금협약 체결, 해고자 7명 복직
-
1998.07.23
민주노총 연대파업(10시간)
-
1998.10.30
제8대 집행부 출범(위원장 석치순)
-
1998.12.15
고용안정 쟁취와 지하철 개혁을 위한 1차 조합원총회(서울역)
-
1997
-
1997.01.15
노동법 개악 반대 2차 총파업(2일간)
-
1997.03.28
제10기 정기대의원대회
-
1997.06.07
전국 민주철도·지하철 연맹 결성
-
1997.07.09
1997년 임단협 체결(파업 10시간)
-
1997.10.13
서울지하철노조 창립 10주년 기념식
-
1996
-
1996.02.06
제9기 정기대의원대회
-
1996.06.02
공노대 조합원총회(보래매공원)
-
1996.06.20
1996년 임단협 체결(6.24 파업관련 해고자 15명 복직)
-
1996.11.08
제7대 집행부 출범(위원장 김선구)
-
1996.11.10
제5회 전태일 노동상 수상
-
1996.12.28
노동법 개악 반대 1차 총파업(2일간)
-
1995
-
1995.01.20
제6대 집행부 출범(위원장 석치순)
-
1995.02.10
제8기 정기대의원대회
-
1995.08.04
1995년 임단협 체결
-
1995.10.14
지하철 노사문제 해결을 위한 10만인 서명운동
-
1995.11.11
민주노총 출범 및 가입
-
1994
-
1994.02.04
제7기 정기대의원대회
-
1994.03.16
전국지하철노동조합협의회 결성(상임의장 김연환)
-
1994.06.02
전지협 공동투쟁 결의대회(종묘공원)
-
1994.06.23
경찰, 전기협 농성장에 병력 투입,전기협 총파업 선언.
-
1994.06.24
전기협 공권력 투입, 철도·서울·부산 지하철노조 공동 총파업 전개
-
1994.06.30
파업철회, 위원장 및 파업 지도부 명동성당 농성 돌입
-
1994.07.12
위원장 직무대행 체제(석치순)
-
1994.09.12
파업 지도부 구속, 농성 중단(75일차) 자진 출두
-
1994.11.04
공공부문노동조합대표자회의 결성, 가입
-
1994.11.09
서울지하철 해직자 원상회복 투쟁위원회 결성식
-
1993
-
1993.01.18
강진도 위원장 불신임 조합원 총투표(~20) 불신임 찬성 93.2%
-
1993.03.22
비대위 5대 총선거 공고
-
1993.04.03
노동부, 김명희 전 위원장을 총회소집권자로 지명
-
1993.04.30
강진도 위원장 불신임 조합원 총투표 (찬성 93.2%불신임 가결) / 강진도 집행부 퇴진 / 부대사업 비리 유죄 판결, 파면
-
1993.05.27
제5대 집행부 출범(위원장 김연환)
-
1993.06.25
제6기 정기대의원대회
-
1993.09.14
1993년 임단협 체결
-
1993.11.23
2기 지하철 운영권 분리음모 규탄대회(서울역 광장)
-
1992
-
1992.01.20
선로보수작업 중 조합원 사망사고 관련 조합원 비상총회
-
1992.03.13
제5기 정기대의원대회
-
1992.06.17
1992년 임금협약 체결
-
1992.07.03
강진도 위원장 퇴진을 위한 범지부 대책위원회 결성
-
1992.07.08
집행부 총사퇴 총선 요구 조합원 서명(75.4%)
-
1992.07.14
1992년 임금협약안 찬반투표. 찬성률 25.5%로 부결
-
1992.08.11
강진도 위원장 불신임 투표를 위한 임시총회 소집 요구 서명
-
1992.09.02
범지부 대책위, 강진도 퇴진 촉구 조합원 총회, 무기한 농성 돌입
-
1992.12.15
임시대의원대회 노조 비상대책위 결성
-
1991
-
1991.02.10
대기업노조연대회의 간부 수련회 후 조합 간부 7명 연행. 정윤광 구속
-
1991.02.26
제4기 정기대의원대회
-
1991.03.30
제4대 집행부 출범(위원장 강진도)
-
1991.06.19
1991년 임단협 체결
-
1991.07.11
조합원 찬반투표 부결(7.1~3)관련 상집 개편 방침 결정
-
1990
-
1990.01.22
전노협 결성
-
1990.02.09
구속동지 석방 결의대회 및 원직복직투쟁본부 발대식
-
1990.02.23
제3기 정기대의원대회
-
1990.03.09
위원장 직무대행 체제(조상호)
-
1990.04.21
부당교육 저지 철야농성 투쟁(~26)
-
1990.04.27
서울시투자기관노동조합협의회 결성 가입
-
1990.05.01
메이데이 태업 투쟁(9시간)
-
1990.06.14
위원장 직무대행 체제(홍순영)
-
1990.07.23
선전홍보, 조합원 조직화, 한진희 사장 퇴진 투쟁 등 7주차 투쟁(~7주간)
-
1990.11.22
정윤광 위원장 만기출소
-
1990.12.10
대의원대회에서 연내 파업 결의
-
1990.12.26.
대의원대회에서 파업 유보 결정
-
1989
-
1989.02.03
제3대 집행부 출범(위원장 정윤광)
-
1989.02.20
불법 연행 동지 구출을 위한 전 조합원 구의역사 투쟁
-
1988.03.06
직제개편 및 근무형태 변경 합의서 이행 태업 투쟁(4일간)
-
1989.03.16
7일간 무임승차 투쟁 및 파업 (조합원 2346명 연행 및 위원장 등 30명 구속)
-
1989.04.17
제2상무집행위위원회 체제
-
1989.08.07
위원장 직무대행 체제(서창호)
-
1989.09.19
위원장 직무대행 체제(최낙용)
-
1989.08.23
중앙노동위 직권중재(직제개편및 근무형태 변경)
-
1989.11.04
합의각서(1989 임금협약) 체결
-
1989.12.01
근무형태 변경 실시(24시간 교대제→3조 2교대, 4조 3교대, 교번제)
-
1988
-
1988.01.25
1988년 임금 및 단체협약 체결
-
1988.02.10
직제개편추진위원회 발족
-
1988.02.26
제1기 정기대의원대회
-
1988.05.29
서울지역 노동조합협의회 (서노협 결성), 한국노총 탈퇴
-
1988.06.11
직제개편 쟁취 전진대회(군자차량기지 앞 용답축구장)
-
1988.06.17
지하철 최초 파업(3시간) 양해각서 이행을 위한 합의각서 체결
-
1988.08.03
주택조합 사기 연루 의혹으로 배일도 집행부 총사퇴
-
1988.08.18
제2대 집행부 출범 (위원장 김명희)
-
1988.08.24
이·취임식 후 열린 임시대의원대회에서 9월 4일 파업 돌입 결의
-
1988.09.04
파업을 올림픽 이후로 연기하기로 결정
-
1988.10.05
직제개편 합의각서 체결
-
1988.11.19
부당인사 철회 요구 차량지부 파업
-
1987
-
1987.08.12
노동조합 설립 (발기인 57명 초대 위원장 배일도)
-
1987.08.13
노동조합 결성 1차 보고대회(군자기지,300여 명 참여)
-
1987.08.14
노동조합 결성 2차 보고대회(지축기지,1,500여 명 참여)
-
1987.08.17
노동조합 결성 3차 보고대회(창동기지,1,500여 명 참여)
-
1987.08.21
서울교통공사노동조합 설립신고서 교부
-
1987.09.30
초대 대의원과 지회장 선거
-
1987.11.18
최초의 임금· 단체협약 및 양해각서 체결